Smelting·Refining/EAF(Electric Arc Furnace, 전기로)

슬래그 조건, 융점, 유동성, 비중 비교

점동이 2015. 7. 17. 17:00

슬래그 조건, 융점, 유동성, 비중 비교

 

1. 슬래그 조건

 1) 저융점을 가질것(제련금속보다 100~150도 정도 낮을 것)

 2) 유동성이 좋을것

 3) 비중이 작을것

 4) Metal과 Slag분리가 용이해야 함

 

2. 슬래그 융점

 철제련(용광로 슬래그)

 비철제련

SiO2-CaO-Al2O3계

1265~1500도

CaO-Al2O3계는 융점이 낮아도 유동성이 안좋음

CaO-SiO2계 쪽의 중간쪽을 많이 사용함

SiO2-CaO-FeO계

1050~1100도

FeO-SiO2계의 융점이 낮은쪽, FeO가 높으면 융점높음

규산도가 1.2~1.4정도

 

구분

CaO

SiO2

Al2O3

FeO

철제련 슬래그

38~50

30~50

9~20 

 

 비철제련 슬래그

6~12

38~42

 

46~58

 

 

3. 슬래그 유동성

1) 온도상승시 ->  유동성 증가

2) 같은 온도에서 -> 산성슬래그 유동성 < 염기성 슬래그 유동성

 

3) 저규산도※에서

: 산성슬래그에서 Al2O3증가시 -> 유동성 감소

: 염기성슬래그에서 Al2O3증가시 -> 유동성 증가

4) 규산도가 "1" 이상에서

: SiO2증가시 -> 유동성 감소,

: FeO, MnO, PbO 증가시 -> 유동성 증가

5) 규산도가 "2" 이상에서

: 점도가 낮음 <----  Fe(Ⅱ), Mn, Fe(Ⅲ), Mg, Cu, Al  ------> 점도가 높음

 

※ 규산도(K) = SiO2/CaO

 

 

4. 슬래그 비중

 1) 메트와 슬래그의 비중차는 1 이상 될것

 2) 비중비교

 : 산화슬래그 비중 > 환원슬래그 비중

   -> 산화제련 슬래그 중에는 -> FeO가 많음

   -> 환원제련 슬래그 중에는 -> CaO, SiO2가 많음

'Smelting·Refining > EAF(Electric Arc Furnace, 전기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철정련-건식정련과 습식정련  (0) 2015.07.19
금속의 제련과 정련  (0) 2015.07.18
슬래그 플럭스  (0) 2015.07.17
염기도의 정의  (0) 2015.07.17
미분탄 취입법(PCI)?  (0) 2015.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