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화물
1. 정의
: 용융점이 높은 비금속 물질을 말하며, 한국공업규격에 의하면 내화물의 내와도 SK26번(1580도)이상을 말함
※ SK : Seger Cone(제게르콘)
1) 내화도 측정
<내화도 측정법>
: 내화도를 알고자 하는 소재를
Seger Cone으로 성형제작하여 600~2000도에서 연화온도에 대응하여
22~42번까지 SK번호를 알고 있는 제게르콘과
동시에 시료를 가열하여 연화변형을 비교하여 번호를 나타낸다.
: 그림과 같이 3각추의 형태로 성형함
이를 모래에 묻고 20~30도씩 간격을 두고, 시료에 번호를 정하여 두고
600~2000도까지 제게르과 동일하게 가열하여
그 시편의 융점을 갖는 융용온도표를 만들어 놓음
동일한 제게르콘과 같이 표준SK번호를 찾아 내화도를 정한다.
2. 내화물의 구비조건
① 내화도가 높을것 융점 및 연화점이 높을것
② 고온에서 내압력을 가질것
③ 마모에 강할것(장이붐ㄹ의 마모에 견딜것)
④ 화학적 침식에 저항력이 있을 것(산성산화물은 산성내화물, 염기성산화물은 염기성 내화물에 접촉해야 함)
⑤ 급격한 온도변화에 견딜것 (Spalling에 견딜것)
⑥ 열전도도는 목적에 맞게 적거나 큰편이 좋음
⑦ 열용량은 축열 및 연료 손실에 따른 조건을 구비할것
※ 내화물 Spalling 현상
1) 정의 : 내화재료의 용어로서 - 재료가 고열 상태에서 급랭될 때에 벗겨지는 현상.
2) 사례 : 일반적으로 고급 내화 재료일수록 이와 같은 결함이 현저함
① 마그네사이트, 크로마이크
- 내열성이 충분하지만 열의 고저에 대한 팽창성, 수축성이 큼, 이 스폴링 때문에 고열부에 사용하기 곤란함
② 샤모트질
- 건조가 불충분할 때, 스폴링으로 인해 대패로 깎은 것과 같이 벗겨짐, -> 사전 건조를 충분히 해야함
③ 마그네시아
- 마그네시아 파이프 벽돌(메탈케이스 벽돌)은 염기성 전호로의 벽지 등에 널리 사용되는 점결제
- 고염(苦汁), 물유리 등이 좋음, 충분히 건조필요=오스트리아제 radex 벽돌과 필적
※ 금속 Spalling현상
: 금속의 표면에서 금속조각 모양의 것이 벗겨지거나 균열이 일어나서 떨어지는 현상.
※ 칠박리현상
: 롤(roll) 표면의 일부가 압연중에 박리하는 현상을 말하며, 칠(chill) 박리라고도 한다.
'Smelting·Refining > Refractory(내화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화물 SK번호와 융점2 (0) | 2019.08.14 |
---|---|
내화물 SK번호와 융점 (0) | 2019.08.14 |
카리장석이란? (0) | 2015.09.05 |
내화물-내화물의 분류 (0) | 2015.07.26 |
내화물-Spalling현상-열적-기계적-구조적 (0) | 2015.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