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erial(금속재료)/Iron&Steel(철강재료)

금속재료-Ti과 그 합금강

점동이 2015. 7. 30. 18:40

금속재료-Ti과 그 합금강

 

용어

- 티타늄 : 영어 titanium 타이테이니엄

- 티탄 : 독일어: Titan 티탄

- Ti : 라틴어, titanium 티타니움

- 원자 번호 : 22

 

특징

- 가볍고 단단하고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금속 원소

- 은백색의 금속 광택

- 뛰어난 내식성과 낮은 비중(강철 대비 무게 60% 밖에 되지 않음

- 물리적, 화학적 성질은 지르코늄과 비슷함

 

용도

: 순수한 타이타늄은 낮은 물성치로 인해 강한 내식성이 요구 되는 곳을 제외하곤 대부분 합금사용

: 이산화 타이타늄은 흰색 안료의 재료로, 페인트.

 

광석

티탄철석과 금홍석

두 가지 동소체과 다섯 가지 자연 동위원소로 발견됨 48Ti

Ti의 역사

1791년 영국 아마추어 지질학자이자 목사인 William Gregor이 의해 강가의 하천에서 타이타늄를 발견하고 ‘Manaccin’으로 명명

1795년 독일의 Martin H. Klaproth Rutile(금홍석)에서 타이타늄을 발견하고 ‘Titan명명

1797년 두 사람이 발견한 원소동일, 영국Titanium’ 독일Titan

 

상용화

지각구성 금속원소 중 4번째로 매장량이 풍부함

: 사용량이 적은 주요 원인

- TiO2가 주성분인 타이타늄 광물을 제련하기가 어려움

- TiO2는 열역학적으로 매우 안정함(하여 환원하기가 어려우며 또한

- O, C, N, H 친화력이 매우 큼 순수한 금속을 얻기 어렵움

- TiO2를 직접 환원하여 순수한 타이타늄 금속을 얻는 것이 불가능

 

제련법

1910 : M.A. Hunter()→철제 용기 내에서 TiCl4Na으로 환원하여 제련성공(Hunter Process)

1932 : W.J. Kroll()→ TiCl4Ca을 반응시켜 타이타늄을 얻음

1937 : TiCl4Ar속에서 Mg으로 환원하여 스폰지 타이타늄 얻음  Kroll법의 시초

: Kroll미국광산국의 추진에 따른 상용화됨

1948 : 폰사 최초로 타이타늄을 상업적으로 생산

 

합금 종류

: 타이타늄 합금은 실온의 결정 구조에 의해 4가지 종류로 구분

: 시중에서는 ASTM 기준 등급으로 구분

 

결정 구조에 따른 종류

1) 순수타이타늄

: 낮은 강도이나 강한 내식성이 요구 되는 곳에 사용.

 

2) α 합금

: 상온강도가 낮으나 저온 안정상 수 백도의 고온에서 취약한 상이 석출 안됨 내열 티탄합금의 기본

: Al, Sn, Zr을 첨가하여 α상을 고용 강화한 단일상(β합금에 비해 가공성은 떨어짐)

 

3) α-β 합금

: Ti-6Al-4V이 대표적인 합금 가장 널리 사용 되는 합금

: 강도 → 122~97kgf/㎟ 정도

: 높은 인성, 소성 가공성, 용접성, 주조성 좋음 사용하기 쉽고 신뢰성이 큰 합금

 

4) β 합금

: V, Mo등의 β안정화 원소가 다량으로 첨가되는 합금

: 용체화 처리 및 시효로 130 kgf/㎟ 이상의 고강도를 얻음 가공어려움

 

미국재료시험협회 기준 등급

Grade1

순수타이타늄

pure titanium

Grade2

``

``

Grade3

``

``

Grade4

``

``

Grade5

합금

Ti-6Al-4V

...

``

...

...

``

...

Grade28

``

Ti-3Al-5V-0.1Ru (Grade 9 with Ru)

...

``

...

...

``

...

 

 

일반적 특징

: 비중이 작아 가볍다 철의 절반 정도의 무게로 철과 유사한 강도.

: 우수한 내식성 상온의 물, 공기 중에서 부동태피막 형성(Au, Pt 다음으로 내식성 우수)

: 녹는점 → 1668완전한 주괴 제작 곤란함

 

: 고온 급격히 산화 열간가공과 용접이 곤란함 높은 항복 응력 냉간가공 어려움

: 상온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김 부식을 방지

: 600℃ 이상의 고온 반응성 좋음 → O2, N2, H2 으로 오염 내식성을 저하

용착 금속내부에 다공성 등의 결함을 발생 내식성 및 기계적 성질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