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3-44) Sn 50Kg을 용해하였을때 Sn-Fe 2원계에서 공정점에서 부유거품으로 손실되는 양을 구하시오.
Sn-Fe 2원상태도는 그림 3-28과 같이
공정점은 0.003%Fe, 232℃에서, 공정점에서 석출하는 화합물은 19%Fe를 함유한다.
0.1%의 철을 불순물로써 함유하는 Sn50Kg을 용해하고,
공정온도 가까이까지 냉각한다.
굳어진 거품을 걷어낼 때, 고체와 동량의 액체도 포함되어 진다.
다음의 문제에 답하시요.
(a) 그 부유거품과 얻어진 금속의 중량과 화학조성을 구하시오.
(b) 얻어진 부유거품(Skimming) 중에 손실되는 Sn의 양을 구하시오
해) a)
부유거품을 제거하는데, 같은 량의 액체도 포함되어 제거되기 때문에,
부유거품의 50%는 19%Fe, 남머지 50%는 0.003%Fe이다.
즉 부유거품중의 Fe분은
(19.0+0.003)/2 = 9.5%
지금 부유거품량을 Xkg이라고 하면, 다음의 물질지수가 성립한다.
(0.1*50)/100 = [9.5*X/100]+[(50-X)*0.003]/100
X = 0.51
따라서, 부유거품의 중량은 0.51Kg이고, Fe분은 9.5%이다.
또한 0.003%Fe를 함유하는 금속이 49.49kg을 얻어진다.
해) b)
0.51*[(100-9.5)/100]*(100/50) = 0.92%
대게
(1) 불순물 I와 금속 M의 2원계 상태도에서 공정점이 가능하면 순금속 M에 가까운 조성일것
(2) 불순물 I의 융점이, 금속 M에 비해서 확연이 매우 높을 것
(3) I에 M이 용해하기 어려울 것
이 경우에는, 예와 같이 첨가물을 더하지않고, 고체로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Metallurgy(야금열역학) > Thermodynamics(열역학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액중 기타 원소농도의 영향 (0) | 2023.01.29 |
---|---|
활량과 활량계수, 활량조계수 (0) | 2023.01.29 |
문제) 고로(용광로)의 장입물의 출열계산 (0) | 2022.10.09 |
문제) 고로(용광로)의 장입물의 입열계산 B (0) | 2022.10.09 |
열량 계산 (0) | 2022.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