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19 : MnO(s) 환원반응은? 문: MnO(s)가 고체 카본에 의해 환원되어 Mn(s)이 생성되는 반응이 1200도에서 평형에 도달할 때, pco, pco2 및 po2를 Ellingham에서 구하면? 해) 2Mn + O2 = 2MnO ------(1) 의 자유에너지 선과 2C + O2 = CO2 ------(2) 의 표준자유에너지의 선의 교차점 온도 1428도에서는 -> 반응 (1)+(2) 반응 2MnO + 2C = 2Mn + 2CO ------.. Metallurgy(야금열역학)/Thermodynamics(열역학 문제풀이) 2018.06.29
S-35 : CaC2에 의한 탈황반응? 문) CaC2에 의한 용철중의 탈황반응을 <CaC2>+[S]=<CaS>+2<C>---(1)라고 하는 경우, 용철중에 [S]의 탈황한계 농도를 1500도에서 구하시오. 단, CaC2, CaS는 고체물질이라고 가정하고, 용철은 탄소포화(5.1wt%, 1500도)라고 한다. 용철중의 C, S이외의 불순물은 용해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한다. .. Metallurgy(야금열역학)/Thermodynamics(열역학 문제풀이) 2018.06.19
Mesh와 Size관계 1mesh란 길이 1in 사이의 칸 수를 말합니다. 1in2 면적 안에 구멍 수가 625개이면, 그 한칸의 사이즈는? 1. 1 인치 면적은 ? : 면적 =가로x세로=1inchX1Inch=2.54cmx2.54cm=6.4516cm2 : 면적속에 625개가 있으면 몇 mesh? X^2=625 X = 625^(1/2) = 25 mesh 2. 가공메쉬와 마이크로 사이즈 관계 Metallurgy(야금열역학)/Units(단위들) 2017.10.06
문제) CaCO3을 가열시 CaO와 CO2로 분해, 6.79 g의 CaO가 생성될 때, CO2는 몇 g 생성될까? 석회석을 소성하면 다음과 같이 생석회와 이산화탄소로 되어 CaO를 생석회로 사용함 CaCO3 = CaO + CO2 -----------(1) CaO의 몰질량 = 56.08 g/mol CaO의 6.79g은 몰수 ? 6.79 g / (56.08 g/mol) = 0.121 mol 1식으로 생성된 CO2의 몰수 ? CaO : CO2 1몰 : 1몰 0.121 mol : ? mol 0.121 mol CO2의 몰질량 = 44.01 g/mol 생성된 CO2의 질량 = 0.121 mol × (44.01 g/mol) = 5.33 g Metallurgy(야금열역학)/Thermodynamics(열역학 문제풀이) 2017.07.16
at%, wt%전환 1. wt% (Weight%) C1 = (m1)/(m1+m2+m3) x 100 C1 : 물질구성1의 중량% m1 : 물질구성1의 중량, m2 : 물질구성2의 중량, m3 : 물질구성3의 중량 2. at%(atom%) C'1 = (N1)/(N1+N2+N3) x 100 C'1 : 물질구성1의 원자% N1 : 물질구성 1의 몰수, N2 : 물질구성 2의 몰수, N3 : 물질구성 3의 몰수 3. wt% -> at% 전환 [ (C1*A2)/{(C1*A2)+(C2*A1)}.. Metallurgy(야금열역학)/Units(단위들) 2016.04.21
at%, wt%전환 wt% (Weight%) C1 = (m1)/(m1+m2+m3) x 100 C1 : 물질구성1의 중량% m1 : 물질구성1의 중량, m2 : 물질구성2의 중량, m3 : 물질구성3의 중량 at%(atom%) C'1 = (N1)/(N1+N2+N3) x 100 C'1 : 물질구성1의 원자% N1 : 물질구성 1의 몰수, N2 : 물질구성 2의 몰수, N3 : 물질구성 3의 몰수 wt% -> at% 전환 Metallurgy(야금열역학)/Units(단위들) 2016.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