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570

원소의 당량과 원자가

물질과 물질이 상대적 반응량 예) H2O와 같은 g당량식 수소와 산소간의 반응량 관계로 부터 어떤 원소의 1당량(또는1g당량) 구하기 당량 = 원자량/원자가 1g당량 = 1g원자(1mole)/원자가 원자가 : 화학결합에 관여하는 전자수 (전자배열, 주기율표상의 위치(족)과 관련됨 구분 1당량 1g 당량 수소 1 (=1원자량) 1 g, 1/2몰, STP에서 1.2L 산소 8 (=1/2원자량) 8g, 1/4몰, STP에서 5.6L

카테고리 없음 2023.12.17

예제3-44) Sn 50Kg을 용해하였을때 Sn-Fe 2원계에서 공정점에서 부유거품으로 손실되는 양을 구하시오.

예3-44) Sn 50Kg을 용해하였을때 Sn-Fe 2원계에서 공정점에서 부유거품으로 손실되는 양을 구하시오. Sn-Fe 2원상태도는 그림 3-28과 같이 공정점은 0.003%Fe, 232℃에서, 공정점에서 석출하는 화합물은 19%Fe를 함유한다. 0.1%의 철을 불순물로써 함유하는 Sn50Kg을 용해하고, 공정온도 가까이까지 냉각한다. 굳어진 거품을 걷어낼 때, 고체와 동량의 액체도 포함되어 진다. 다음의 문제에 답하시요. (a) 그 부유거품과 얻어진 금속의 중량과 화학조성을 구하시오. (b) 얻어진 부유거품(Skimming) 중에 손실되는 Sn의 양을 구하시오 해) a) 부유거품을 제거하는데, 같은 량의 액체도 포함되어 제거되기 때문에, 부유거품의 50%는 19%Fe, 남머지 50%는 0.003%Fe..

내화물의 분류와 종류

1. 산성내화물, 염기성 내화물, 중성내화물 2. 내화물과 슬래그 1) 내화물은 슬래그와 반응이 없도록 축로를 할것 2) 슬래그의 염기성산화물, 산성산화물의 정도는 산화물들의 " I " 값으로 결정함 3) 참조 슬래그의 산성과 염기성의 결정 - 페이지(슬래그란 참조) P : 두 이온간의 정전인력 Z+ : 양이온의 원자가, Z- : 음이온의 원자가 e : 전자의 전하량 a : 이온간의 거리 -> 음이온으로서 O^(Z-)를 취하고, e를 상수로 하여 -> 이온과 산소간의 인력을 구하면 : " I "의 대소는 양이온 M^(Z+)과 그주변에 존재하는 산소O^(2-)이온과의 상호작용 강도를 나타낸다. : 즉, 식으로 부터 "Z+"(양이온의 원자가) 값이 크고, "a“(이온간의 거리) 값이 적을 수록 "I "값은 ..

반응형